글림체/PayPal/DeepMind brandB Weekly News Letter
2022.11.21. 새로운 브랜드
이번 주는 해외 유명 브랜드의 리뉴얼 사례를 주목하세요. 사실 둔감한 사람은 변화가 없다고 생각할 수도 있는데요, 정교화된 디테일과 전용서체를 통해 디자인이 진화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PS. 브랜드비 오픈 채팅방을 만들었어요. 브랜드 네임과 로고에 대한 자유로운 이야기를 나눠봐요. 익명이니 부담없이 고고!
|
|
|
PayPal : BI Renewal
전용서체를 통해 좀 더 깔끔하게 다듬어졌어요. 오버랩되는 그래픽 모티프를 활용한 아이콘 디자인이 재미있습니다. |
DeepMind : CI Renewal
Before&After의 변화를 알아차리기 힘들정도로 미세한 변화입니다. 로고보다는 디자인시스템에 주목하세요. |
|
|
Arcual : New Name & BI
예술과 블록체인이 만났습니다. 오른쪽 Art Blocks과 전혀 다른 결을 보여주고 있어요. |
Art Blocks : BI Renewal
대놓고 정체성을 밝히는 브랜드입니다. 여러분의 선호도는 어느 쪽일까요? |
|
|
Artera : CI Change
이름에 Art가 들어가지만, Art와는 상관이 없습니다. 헬스케어 브랜드인데요, a의 형태가 무엇을 표현하는지 맞춰보세요. |
Academy Museum : BI Renewal
양끝맞춤으로 글자를 정렬한 로고타입을 사용한 드문 케이스입니다. 어떤 장점이 있는지 살펴보세요. |
|
|
Butter : New BI & Package
BTS의 노래가 아닙니다. 요즘 자주 등장하는 대마초 브랜드입니다. 이름을 숨긴 버터 바 버전 로고도 있어요. |
BOLA : New BI
월드컵을 맞아 기획한 프로젝트인 것 같아요. 전세계 각국의 아티스트들이 축구공을 디자인했습니다. |
|
|
The Week : Design System
로고의 변화보다는 어플리케이션에 활용된 디자인 시스템을 살펴보세요. 일러스트 사용 전략도 좋은 것 같아요. |
Breakit : BI Renewal
기울어진 로고의 형태를 잘 활용한 브랜딩 사례가 아닐까 싶습니다. 케이스 스터디를 살펴보세요. |
|
|
Ippuku : New BI & Package
일본 UCC 커피의 해외 진출 커피 브랜드라고 합니다. 패키지 디자인이 예뻐요. |
Mizone : Package Renewal
중국의 비타민 워터 브랜드입니다. 요즘 패키지에서 탄소중립 이슈가 핫한 것 같아요. |
|
|
The Social Hub : BI Change
학생과 여행자들을 위한 숙소, The Student Hotel이 브랜드를 변경했습니다. 타겟을 확장하려는 시도로 보입니다. |
Overmoon : New Name & BI
가족을 위한 숙박시설 렌털 서비스입니다. 호텔과 AirBnB가 혼합된 형태라고 할 수 있을까요? |
|
|
배민 글림체 : New Typeface
재미있는 시도를 많이하는 배민다운 서체입니다. 글자를 구성하는 녀석(?)들을 잘 살펴보세요. 배민의 캐릭터라고 하네요. |
범퍼커피 : New BI
채선당의 새로운 커피샵 프랜차이즈입니다. 모기업 채선당의 이미지를 완전히 배제한 브랜드네요. |
|
|
지금 : New BI
NH농협카드의 새로운 브랜드입니다. 짧은 길이에 집착하면 이런 네임이 나오는 것 같아요. BNPL이 화두인데, '지금' 결제하는 것이 어떤 차별점이 있을까요? |
트리마제 : BI Renewal
8년만의 리뉴얼입니다. 최근 발표한 '르텐 바이 트리마제' 와는 전혀 다른 로고 디자인이네요. |
|
|
더랩 바이 블랑두 : BI&Package Renewal
로고는 심플하지만, 컨셉 전개가 흥미로워 공유합니다. 에이전시의 케이스 스터디를 살펴보세요. |
대전고암미술문화재단 : CI Renewal
이응노 미술관을 운영하는 재단입니다. 심볼은 이응노 화백의 작품을 기반으로 개발되었다고 합니다. |
|
|
최적의 색상을 선정하여 개발한 로고가 인쇄를 했더니 완전 칙칙한 색으로 변했던 경험이 있으신가요? 프린트 해서 보면 괜찮은데, 모바일 화면으로 보면 눈이 아플 정도로 밝아지는 색상 때문에 고민한 경험은요? 디자이너라면 한 번 쯤 고민해봤을 RGB와 CMYK 색상 체계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해외의 좋은 블로그 글을 번역했어요. 다이어그램 이미지만 보셔도 도움이 됩니다!
|
|
|
|